1. 칠게 등 흔한 갑각류
칠게는 질척대는 진흙 갯벌에서 떼 지어 사는 흔한 게로 등딱지는 네모꼴이고 털이 많습니다. 눈자루가 길고, 집게발은 누르스름하며, 수컷이 암컷보다 집게발이 큽니다. 물에 빠지면 구멍에서 나와 집게발로 갯벌을 긁어 먹습니다. 다가가면 재빨리 구성으로 들어가 긴 눈자루만 내놓고 밖을 살핍니다. 엽낭게는 서해나 남해의 바닷가 모래밭에 흔하게 있는데 공알만 하다고 '콩게'라고도 합니다. 등딱지는 둥근 사다리꼴이고, 오톨도톨한 돌기가 있습니다. 촉촉한 모래밭에서 한 뼘 깊이로 구멍을 파고 살고 모래를 긁어 먹고 구멍 둘레에 녹두 알만 한 모래 뭉치를 뱉어냅니다. 물이 들어오면 모래를 한 아름 끌어안고 들어가 구멍 입고를 막습니다. 달랑게는 서해나 남해의 바닷가 모래밭에 사는데 엽낭게보다 크고, 등딱지가 네모반듯합니다. 암수 모두 한쪽 집게다리가 다른 쪽보다 크고 짝짓기 철이 되면 수컷은 껍데기가 붉게 바뀝니다. 달랑달랑 걷거나 바람에 날아가듯이 달려가는데 집게발로 모래를 퍼먹고, 동글동글한 모래 덩어리를 구멍 가까이에 뱉어 놓습니다. 흰발농게는 농게보다는 작고 수컷의 집게발이 흰 것이 특징입니다. 흰발농게가 모여 있으며 갯벌에 흰 바둑돌을 뿌려 놓은 것 같습니다. 눈이 좋아서 조금만 다가가도 순식간에 구멍 속으로 숨고 짝짓기는 여름에 합니다. 수컷은 큰 집게발을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암컷을 꼬여 구멍으로 들어가는데 다음 날 밤, 암컷은 5만 개쯤 되는 알을 바닷물에 흘려보냅니다. 가을이 되면 허물을 벗으며 자란 어린 게들이 다시 갯벌로 돌아옵니다. 농게는 갯벌에 사는 게로 수컷은 한쪽 집게발이 매우 크고 빨갛습니다. 오른발이 큰 것도 있고 왼발이 큰 것도 있는데, 큰 집게발로는 다른 수컷과 영역 싸움을 하고, 작은 집게발로는 펄을 긁어 먹습니다. 암컷은 집게발 두 개가 다 작습니다. 물이 들어오기 시작하면 구멍으로 들어가 진흙으로 입구를 메우고 날이 추워지면 구멍 깊숙이 들어가 겨울을 나는데 구멍은 길이가 1미터나 된다고 합니다.
2. 잠자리류 동물
다음으로는 잠자리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물잠자리는 여름에 시냇가에서 볼 수 있는데 날개가 검고, 몸통이 짙푸른 비단같이 빛납니다. 날개를 접어 세운 채 않고 있는데 암컷은 물속에 배를 깊이 담그고 물풀의 줄기에 알을 낳습니다. 애벌레는 알을 깨고 줄기 밖으로 나오는데 물속 벌레를 잡아먹으며 자라다가, 물 밖으로 올라와 날개를 폅니다. 아시아실잠자리는 논이나 시냇가에 흔한 잠자리로 몸이 실처럼 가늘고 빛깔은 풀빛으로 등 쪽은 검은색을 띱니다. 잠깐 날아올랐다가 곧 풀잎에 내려앉고 날개를 접고 가만히 붙어 있습니다. 암컷은 물풀에 알을 붙입니다. 참실잠자리는 몸 빛깔이 파랗고 검은 무늬가 있습니다. 하트 모양으로 붙어서 짝지기를 합니다. 암컷은 물풀에 알을 하나씩 낳고 애벌레는 물에서 깨어나 물벼룩 같은 작은 벌레를 잡아먹으며 자랍니다. 된장잠자리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쉽게 볼 수 있는 잠자리로, 배가 된장 색입니다. 날개가 큼직하고 힘 있게 잘 날아다닙니다. 여러 마리가 떼를 지어 다니는데 산에도 많고 들에도 많습니다. 도시에도 곧잘 나타나 높은 건물 위까지 날아오릅니다. 암컷은 배 끝으로 물을 스치면서 알을 떨어뜨립니다. 왕잠자리는 봄부터 가을까지 쉽게 불 수 있으며 몸집이 큽니다. 가슴은 풀색이고, 배의 위쪽은 검고, 아랫면은 은빛입니다. 저녁 무렵에 연못이나 물가에서 날아다니며 하루살이나 모기를 잡아먹습니다. 암수가 붙은 채 날아다니다가 물풀 줄기에 알을 낳는데 애벌레는 물속에서 작은 물고기나 올챙이를 잡아먹습니다. 다음으로 왕사마귀는 사마귀 가운데 가장 크며, 머리가 세모지고, 턱이 크고, 날카롭습니다. 앞다리가 낫처럼 구부러지고 톱니가 있으며 풀잎에 숨어 있다가 이 앞다리로 먹이를 움켜잡습니다. 진딧물부터 청개구리까지 닥치는 대로 잡아먹습니다. 가을에 풀 줄기나 돌 틈에 흰 거품을 뿜어 폭신폭신한 알집을 만들고 알을 낳습니다. 이듬해 봄이 되면 수많은 사마귀 애벌레들이 알집을 뚫고 쏟아져 나오는데 번데기는 거치지 않습니다. 좀사마귀는 사마귀 가운데 작은 편입니다. 몸이 마른 풀색이고 머리가 납작하며 앞다리에 검은 얼룬무늬가 있습니다. 풀밭이나 낮은 나뭇가지에서 살고 한여름부터 가을까지 나타납니다. 방아깨비는 우리나라 메뚜기 무리 가운데 가장 크고 뒷다리를 붙잡고 있으며 꺼떡꺼떡 방아 찧는 시늉을 합니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고 수컷은 낮에 소리를 내며 날아다닙니다. 암컷은 '완치', 수컷은 '따다가 도깨비'라고도 하고 벼 잎이나 풀잎을 갉아 먹고 삽니다. 암수 모두 머리가 뾰족하고 더듬이는 짧고 납작합니다. 암컷은 가을에 단단한 땅속에 배를 깊숙이 집어넣고 알을 낳습니다. 벼메뚜기는 논이나 풀밭에서 풀쩍풀쩍 튀어 다니는 곤충으로 몸은 풀색이다가 가을이 되면 마른 풀잎처럼 누렇게 바뀝니다. 눈 뒤부터 가슴까지 검은 띠무늬가 양쪽으로 있습니다. 앞다리는 짧고 뒷다리는 길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벼 잎이나 풀잎을 갉아 먹고 삽니다. 암컷은 가을에 땅속에 알을 낳습니다. 큰실베짱이는 초가을에 풀밭에서 우는 곤충으로 온몸이 풀색입니다. 날개 길이가 몸통의 두 배를 넘고, 뒷날개가 앞날개보다 길어서 뒤로 삐죽 튀어나와 있습니다. 풀 일을 갉아 먹고 살고 수컷은 날개를 비벼서 소리를 냅니다. 암컷은 산란관을 식물의 줄기에 꽂고 알을 낳습니다. 방울벌레는 가을밤에 방울 소리를 내는 곤충으로 빛깔은 검정 스타킹은 색에 가깝습니다. 수컷은 앞날개를 바짝 세우고 서로 비벼서 소리를 냅니다.
'동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조부터 원앙까지 우리나라 조류 (0) | 2022.12.15 |
---|---|
왕귀뚜라미부터 진딧물까지 알아봅시다. (0) | 2022.12.14 |
갯강구부터 갑각류, 참게까지 갯벌 동물 (0) | 2022.12.14 |
익숙한 어류들과 거미류, 공벌레 등 절지동물 (0) | 2022.12.14 |
조피볼락부터 참다랑어까지 알아보자. (0) | 2022.12.14 |
댓글